4월 은행 대출 연체율 0.48%…가계도 기업도 연체 상승

2024.06.14 13:10 입력 2024.06.14 16:25 수정

2월 정점 찍은 뒤 소폭 하락했다가 재상승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 4월 말 기준 국내 은행의 원화대출 연체율(1개월 이상 원리금 연체 기준)은 0.48%로 3월 말(0.43%) 대비 0.05%포인트(p) 올랐다.|경향신문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 4월 말 기준 국내 은행의 원화대출 연체율(1개월 이상 원리금 연체 기준)은 0.48%로 3월 말(0.43%) 대비 0.05%포인트(p) 올랐다.|경향신문

4월 말 기준 국내 은행의 대출 연체율이 전월 대비 다시 상승해 0.48%를 기록했다. 가계대출과 기업대출 모두 올랐다. 금융당국은 은행들이 연체채권을 집중적으로 정리하는 분기말(3월) 다음달은 통상적으로 연체율이 오를 수 있다고 본다. 다만, 개인사업자 등 금리 변동에 민감한 취약차주들 중심으로 부실이 심화할 우려는 여전히 존재한다.

14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지난 4월 말 기준 국내 은행의 원화대출 연체율(1개월 이상 원리금 연체 기준)은 0.48%로 전달말(0.43%) 대비 0.05%포인트 올랐다. 은행 연체율은 지난 2월 0.51%로 4년 9개월 만에 최고 수준을 기록한 뒤 3월 0.43%로 하락했다. 금감원은 “4월 상승 폭은 1월(0.07%p), 2월(0.06%p)에 비해 소폭 둔화했다”며 “통상 분기 말에는 은행의 연체채권 정리 확대로 연체율이 큰 폭 하락하고 다음 달 다시 상승하는 경향이 있다”고 설명했다.

4월 중 신규로 발생된 연체액은 2조6000억원이었다. 이는 전월(2조4000억원) 보다 2000억원 증가한 것이다. 반면 연체채권 정리 규모는 전월(4조2000억원)보다 2조7000억원 줄어든 1조5000억원에 그쳤다.

4월 중 신규연체율(신규연체 발생액/전월 말 대출잔액)은 0.12%로 전월(0.11%) 대비 0.01% 포인트 상승했다. 부문별로 보면 가계대출과 기업대출 모두 올랐다. 가계대출 연체율은 0.40%로 전월 말(0.37%) 대비 0.03%포인트 상승했는데 이중 주택담보대출이 연체율 0.26%로 전월 말(0.25%) 대비 0.01%포인트 올랐다. 주택담보대출을 제외한 신용대출 등 가계대출 연체율도 전월 말(0.73%) 대비 0.06%포인트 상승한 0.79%를 기록했다.

기업대출 연체율 역시 0.54%로 전월 말(0.48%) 대비 0.06%포인트 올랐다. 중소기업과 중소법인, 개인사업자대출이 일제히 오르면서다. 대기업대출 연체율은 0.11%로 전월 말과 유사한 수준을 기록했으나, 중소기업대출 연체율은 0.66%로 전월 말(0.58%) 대비 0.08%포인트, 중소법인 연체율은 0.70%로 전월 말(0.61%) 대비 0.09%포인트, 개인사업자 대출 연체율은 0.61%로 전월 말(0.54%) 대비 0.07%포인트 상승했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