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비디아 없인 중국 전기차도 없다?

2024.06.09 21:11 입력 2024.06.09 21:12 수정

BYD·샤오미·지리차 등 신모델

자율주행 위해 엔비디아 칩 탑재

한·일은 독자 기술력 확보 주력

중국 전기차 제조업체들의 미국 반도체 기업 엔비디아에 대한 의존도가 갈수록 커지고 있다.

9일 자동차 업계에 따르면 중국 전기차 1위 비야디(BYD)는 내년에 양산할 신차에 엔비디아의 차세대 차량용 반도체 ‘드라이브 토르(DRIVE Thor)’를 탑재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중앙처리장치(CPU)와 그래픽처리장치(GPU)를 결합한 시스템온칩(SoC)으로, 최대 2000테라플롭스(TFLOPS·1초당 1조번)급 연산 성능을 보유했다.

BYD에 앞서 중국 샤오미가 지난 3월 출시한 전기 세단 ‘SU7’에도 엔비디아 자율주행 칩 ‘오린(Orin)’이 탑재됐다. 같은 달 중국 지리자동차의 고급 전기차 브랜드 지커가 공개한 신차 ‘믹스’에도 오린이 장착됐다.

이처럼 중국 전기차 업체가 엔비디아 반도체를 사용하려는 이유는 자국 소비자들의 차량 구매 성향 때문으로 풀이된다. 한국의 MZ세대처럼 중국에서 ‘링링허우’(2000년 이후 출생자)로 불리는 젊은층이 차량 구매 시 자율주행 기능과 대형 디스플레이 탑재 등을 주요 판단 기준으로 삼는 경향이 있어서다.

TSMC는 엔비디아 주문에 따라 양산한 비메모리 반도체에 한국산 메모리 반도체를 붙여 패키징하는 형태로 완제품을 만드는 것으로 전해졌다.

결국 중국으로선 소비자들의 요구를 반영해 엔비디아 제품을 사용하려 하지만, 정작 미국과 그 우방인 한국, 대만을 거치지 않으면 쉽지 않은 상황이다.

한국과 일본은 독자적인 차량용 반도체 기술력 확보에 집중하는 모습이다. 현대차그룹은 지난해 미국 출신 반도체 엔지니어 짐 켈러가 최고경영자(CEO)로 있는 인공지능(AI) 반도체 스타트업 텐스토렌트와 제휴를 맺었다. 현대차그룹은 고성능 반도체 개발에 필요한 설계자산(IP)을 확보하는 차원에서 5000만달러(약 680억원)의 전략적 투자도 단행했다. 일본도 지난 3월 도요타 등의 차량용 반도체 연구·개발(R&D)에 10억엔(약 90억원)을 지원한다고 발표했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