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용자동차 사태

주요 쟁점 (3) 회계장부 조작 의혹과 정리해고

2013.01.23 22:10 입력 2013.01.23 23:42 수정

쌍용차 해고자들은 상하이차가 쌍용차에서 철수하는 명분을 만들기 위해 회계장부를 조작했다고 보고 있다. 쌍용차의 기업부실을 부풀려 상하이차가 손을 떼기 쉽도록 했다는 것이다. 이렇게 조작된 회계장부가 2009년 쌍용차의 대규모 정리해고를 위한 근거로 사용됐다는 설명인 셈이다.

노동자운동연구소는 지난해 10월 발표한 ‘쌍용차 정리해고 해결을 위한 보고서’에서 “2008년 말 안진회계법인은 쌍용차가 지금까지 아무런 문제 없이 유지하던 부동산, 건물, 구축물, 기계 공구 등의 유형자산 평가액이 문제가 있다며 평가액을 5177억원이나 평가절하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와 반대로 손익계산서상의 영업외비용(유형자산손상차손)은 크게 증가시켜 2008년 9월까지 980억원 규모였던 순손실이 석 달 만에 7100억원으로 치솟았다. 이런 평가로 쌍용차는 하루아침에 부실투성이 기업이 됐다는 설명이다.

<b>해고 희생자 분향소</b> 서울 덕수궁 대한문 앞에 마련된 쌍용자동차 희생자 분향소. 촛불이 희생자 23명의 인적사항이 적힌 영정 그림을 밝히고 있다. | 경향신문 자료사진

해고 희생자 분향소 서울 덕수궁 대한문 앞에 마련된 쌍용자동차 희생자 분향소. 촛불이 희생자 23명의 인적사항이 적힌 영정 그림을 밝히고 있다. | 경향신문 자료사진

이 같은 내용의 회계보고서는 결국 상하이차의 철수를 정당화하고 이후 기업회생 과정에서 2646명에 달하는 대규모 정리해고를 하기 위한 근거로 작용했다. 정리해고자 수를 산출하는 과정에서의 문제점도 지적되고 있다.

서울지방변호사회는 지난해 10월 발표한 ‘쌍용차 사태 특별조사단 보고서’를 통해 “삼정KPMG가 쌍용차의 ‘자동차 1대당 생산시간(HPV)’을 과다하게 낮게 책정해 정리해고해야 할 인력이 많은 것처럼 부풀렸다”고 밝혔다. 삼정KPMG 방안에서 포드와 현대자동차 등의 생산시간은 20~30시간대인 데 반해 쌍용차는 60시간이 넘는 것으로 산출돼 있다. 변호사회는 “쌍용차의 주력인 스포츠유틸리티차량 생산시간을 놓고 보면 오히려 쌍용차의 생산시간이 현대·기아차보다 짧게 나온다”고 덧붙였다.

쌍용차 측은 유형자산평가액은 매각됐을 경우 등을 감안해 작성된 것이라고 밝히고 있다. 손상차손의 경우도 판매급감 등으로 이미 크게 증가한 상태에서 법정관리에 들어간 이후 더 커지게 된 것이라고 밝혔다. 생산시간도 업체별로 직접 비교가 불가능해 자체 기준을 적용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의혹이 해소되려면 정리해고 직전 작성된 보고서들의 문제점이 밝혀져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회계보고서를 감리한 금융감독원이 나서야 하지만 금감원은 ‘문제가 없었다’는 태도만 견지하고 있다. 쌍용차 해고자들이 국정조사를 주장하는 것도 이런 이유 때문이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