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최순실 게이트

야 “23일 처리”…황교안·여권 ‘부동자세’…길 잃은 ‘특검 연장’ 논의

2017.02.21 22:40 입력 2017.02.21 23:58 수정

권성동 “여야 합의 없인 안돼”…정세균 “직권상정은 부적절”

민주 ‘법사위 상정 무산’ 퇴장

<b>파행</b> 국회 권성동 법사위원장(맨 앞)이 21일 법사위 전체회의에서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이 특검 연장 법안 상정 불발에 항의해 전원 퇴장한 뒤 민주당 간사 박범계, 이춘석 의원과 이야기하고 있다. 연합뉴스

파행 국회 권성동 법사위원장(맨 앞)이 21일 법사위 전체회의에서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이 특검 연장 법안 상정 불발에 항의해 전원 퇴장한 뒤 민주당 간사 박범계, 이춘석 의원과 이야기하고 있다. 연합뉴스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특검의 수사기간 연장 문제가 난항에 빠졌다. 야 4당 대표가 특검연장법 처리에 노력하기로 합의하는 등 압박 수위를 높이고 있지만 여권과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은 꿈쩍하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더불어민주당, 국민의당, 바른정당, 정의당 등 야 4당 대표들은 21일 만나 “황 권한대행이 이날까지 특검의 수사기간 연장 요청에 대한 명확한 입장을 밝히지 않을 경우 23일 본회의에서 특검법을 처리하는 데 모든 노력을 기울이기로 했다”고 선언했다.

앞서 민주당은 긴급 의원총회를 열고 자유한국당의 특검 연장 반대 당론 철회, 황 권한대행의 특검 기간 연장 요청 수용 등을 촉구하는 결의문을 채택했다.

일부 의원들은 국회 본회의장 앞에서 특검의 수사기간 연장을 촉구하는 농성에 돌입했다.

하지만 특검연장법은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문턱도 넘지 못하고 있다. 바른정당 소속 권성동 법사위원장은 이날 법사위 전체회의에서 “특검 연장법안은 여야 원내대표 간 합의 내지 여야 법사위 간사 간 합의가 필요하다”고 입장을 밝혔다. 이에 민주당 의원들은 특검연장법 통과를 촉구하는 의사진행 발언을 한 뒤 퇴장했다.

법사위 문턱을 넘어서기가 어려워지자, 야 4당 대표들은 회동에서 정세균 국회의장에게 직권상정을 요청하는 데도 의견을 모은 것으로 알려졌다.

회동에 배석한 한 관계자는 “합의문 중 ‘모든 노력을 경주한다’는 부분에 직권상정 요청도 포함돼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칼자루를 쥔 정 의장이 ‘선 교섭단체 합의’를 조건으로 걸고 있다. 정 의장은 기자들과 만나 “교섭단체끼리 합의가 안되면 할 수 없다”고 말했다.

특검 수사기간 연장 문제가 ‘국회의장 대 한국당’ 대결로 변질될 수 있다는 부담 때문이다. 다만 정 의장은 ‘특검 연장 법안이 직권상정 요건에 맞느냐’는 질문에는 “국민들이 잘 안다”며 즉답을 피했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