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감온도 31도 넘으면 쉬게 해야”

2024.05.22 21:32 입력 2024.05.22 21:33 수정

정부, 폭염 대비 노동자 대책

건설·택배 사업장 중점 관리

사업주가 노동자 온열질환 예방을 위한 조치를 해야 하는 폭염 기준이 대기온도에서 체감온도로 변경된다. 기온이 같아도 습도가 높아지면 노동자가 체감하는 기온이 더 높아지는 점을 반영한 것이다.

고용노동부는 22일 무더위가 완전히 꺾이는 9월까지 ‘폭염 대비 노동자 건강보호 대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기상청은 올해도 기후변화에 따른 폭염이 심각할 것이라 전망했다. 국제노동기구(ILO)도 전 세계 노동자의 70%가 폭염에 노출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온열질환이 산재로 승인된 노동자 수는 2022년 24명(사망 4명), 지난해 28명(사망 1명)이었다.

노동부는 “이번 대책은 중앙부처와 자치단체, 안전·보건 전문기관, 관련 협회·단체 등이 협업해 현장 중심으로 대응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고 설명했다. 노동부는 온열질환 예방 3대 기본수칙(실외는 물·그늘·휴식, 실내는 물·바람·휴식)과 폭염 단계별 대응조치 등의 내용을 담은 온열질환 예방 가이드를 전국 공공기관과 사업장에 배포한다. 기상청과 협업해 폭염 영향예보도 노사에 일 단위로 제공한다.

사업장은 체감온도가 31도를 넘으면 폭염 단계별로 노동부가 권고하는 조치를 취해야 한다. 실외작업장 노동자는 기상청 날씨 알리미 애플리케이션에서 체감온도를 확인할 수 있다. 실내작업장 노동자는 작업장소에 비치된 온·습도계 확인 뒤 산업안전보건공단 홈페이지 계산 시스템에 정보를 입력하면 체감온도를 알 수 있다. 노동부는 폭염 단계별로 매 시간 10분 이상 휴식을 제공하면서 오후 2~5시 사이엔 옥외작업을 단축 또는 중지하도록 적극 지도하기로 했다.

노동부는 건설업, 물류·유통업, 조선업 등 폭염 취약업종과 택배 및 가스·전력 검침 등 이동노동자를 많이 고용한 사업장을 온열질환 발생 우려 사업장으로 지정해 중점 관리한다. 아울러 이주노동자를 많이 고용하는 농축산업종의 온열질환 발생 우려 사업장을 집중 점검하고 폭염에 취약한 고령 노동자를 ‘온열질환 민감군’으로 지정·관리한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