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방북 초청

펜스 “공조 빛 샐 틈 없어”…비핵화 행동 전까진 북 압박 강조

2018.02.11 17:03 입력 2018.02.11 22:55 수정

방한 마치고 귀국…‘성화 꺼지면 해빙도 끝나길 희망’ 언급도

북 대표단엔 ‘무시’ 일관…백악관 “한국과 통일된 대응 연락”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10일 마이크 펜스 미국 부통령과 함께 강원 강릉 아이스아레나에서 진행된 평창 동계올림픽 쇼트트랙 경기를 관람하며 이야기하고 있다. 청와대 제공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10일 마이크 펜스 미국 부통령과 함께 강원 강릉 아이스아레나에서 진행된 평창 동계올림픽 쇼트트랙 경기를 관람하며 이야기하고 있다. 청와대 제공

마이크 펜스 미국 부통령이 평창 동계올림픽 개회식 참석을 위한 방한 일정을 마치고 10일(현지시간) 귀국했다. 북한 측 대표단에는 눈길 한 번 주지 않고, 가는 곳마다 한·미의 대북 압박 공조를 강조한 펜스 부통령의 2박3일 방한 행보는 북핵 문제와 남북정상회담 가능성에 대한 미국 입장을 상징적으로 보여줬다.

펜스 부통령은 귀국 전용기에서 “북한이 핵과 탄도미사일 프로그램을 포기할 때까지 경제적·외교적으로 북한을 계속 고립시킬 필요성에 대해 미국·한국·일본은 빛 샐 틈이 없다”고 밝혔다. 또 “북한이 핵 야욕을 포기하도록 압박하기 위해 우리가 했어야 할 것들을 계속 해나갈 것이라는 확신을 갖고 여기를 떠난다”고 말했다.

펜스 부통령은 방한 기간 중 북한과의 접촉을 거부했다. 그는 개회식 사전 리셉션에 늦게 입장해 5분 만에 자리를 뜨며 북측과의 만남을 피했다. 개회식에서는 북측 고위급 대표단과 눈도 마주치지 않았다. 미 정부 고위 관계자는 “펜스 부통령은 북한 사람들을 피한 게 아니라 무시한 것이다. 그가 올림픽 개회식에 참석한 것은 북한 때문이 아니었다”고 설명했다. 올림픽을 계기로 한 북·미 접촉은 계획도 없었다는 말이다.

그의 방한 일정은 북한의 인권탄압을 부각시키고 북한에 대한 경제적·외교적 압박 의지를 강조하는 데 맞춰졌다. 그는 개회식 참석에 앞서 북한에 억류됐다가 혼수상태로 풀려난 후 사망한 미국인 대학생 오토 웜비어 아버지와 함께 천안함이 전시된 해군 2함대사령부를 찾아 탈북자들과 면담했다. 그는 이 자리에서 “북한은 자국민을 가두고 고문하고 굶주리게 하는 정권”이라고 비난했다.

펜스 부통령의 행보를 통해 확인되는 미국의 핵심 메시지는 북한이 비핵화 의지를 행동으로 보이기 전에는 압박을 풀지 않겠다는 것이다. 올림픽을 계기로 한 북한의 ‘매력 공세’에도 상황은 달라지지 않았다는 게 미국의 진단이다.

더불어 펜스 부통령은 대북 압박을 위한 한·미 공조 필요성을 거듭 강조했다. 북핵 문제의 진전이 없는 상황에서 남북관계 개선이 북한의 숨통을 터주는 역할을 해서는 안된다는 압박이다. 워싱턴포스트의 칼럼니스트 조시 로긴은 펜스 부통령이 자신에게 “올림픽 성화가 꺼지면 대북 관계의 해빙도 끝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북한의 문재인 대통령 방북 초청을 두고 한·미 간의 분열 가능성이 제기되는 것은 이런 배경 때문이다. 올림픽 이후 남북관계 해빙 마무리를 원했던 미국이 북핵 문제의 진전도 없는 상황에서 추진되는 남북정상회담에 동의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뉴욕타임스는 북한의 제안이 “한국의 가장 중요한 동맹인 미국으로부터 한국을 분열시킬 가능성도 있다”면서 “트럼프 정부는 한국이 북한과 관계를 맺는 것을 말려왔다”고 지적했다.

미국 정부는 일단 신중하다. 백악관은 언론의 공식 입장 요청에 “우리는 북한에 대한 통일된 대응에 관해 한국 측과 긴밀히 연락하고 있다”고 밝혔다. 입장차를 노출하지 않도록 한·미 간 입장을 먼저 조율하겠다는 것이다.

미 정부 고위 관계자는 북한의 초청이 알려진 후 이뤄진 문 대통령과 펜스 부통령의 쇼트트랙 관람 때 이 문제가 논의되지는 않았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문 대통령의 북한 초청 수락이 펜스 부통령의 방한 메시지를 훼손하는 것이냐는 질문에는 “조금도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이 관계자는 남북정상회담 전망에 대해선 “펜스 부통령은 한국과 일본이 경제 제재를 지속하고 강화할 필요성에 동의할 것으로 확신한다”고 밝혔다. 그는 또 “문 대통령은 펜스 부통령에게 북한이 비핵화를 위한 실질적 조치를 취할 때만이 압박 철회의 시작을 고려할 시점이라는 점을 분명히 했다”고 전했다. 현재로선 ‘빛 샐 틈 없는 대북 압박 공조’가 북한의 문 대통령 방북 초청에 대한 미국의 입장인 셈이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