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TA·여당 쇄신 등 난제… MB, 무거운 귀국길

2011.11.04 21:31

이명박 대통령이 4일(현지시간) 프랑스 칸에서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일정을 마무리짓고 귀국길에 올랐다. 그의 발걸음은 무거워 보인다. 순방에서 뚜렷한 성과를 얻지 못했고, 국내에는 부담스러운 일들만 기다리고 있기 때문이다.

이번 G20 정상회의에서 이 대통령의 주안점은 개발 문제였다. ‘개발도상국 지원과 격차해소’는 지난해 서울 정상회의에서 한국이 던진 의제였다. 하지만 그리스의 구제금융 국민투표 논란으로 G20의 모든 관심은 유로존 문제에 집중됐다. 이 대통령은 회의 마지막날인 이날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터키 총리(57)와의 정상회담에서 원전 수주 불씨를 되살렸다. 에르도안 총리는 “원전 건설에 참여해 달라”고 요청했고, 이 대통령은 “실질적 협상을 해나가자”고 밝혔다.

FTA·여당 쇄신 등 난제… MB, 무거운 귀국길

이 대통령에게 국내 사정은 더 머리가 아프다. 한나라당은 지난 3일 국회 본회의를 무산시키고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비준안 처리를 미뤘다. 한나라당은 오는 10일 본회의에서의 처리를 저울질하고 있지만 여야 대치가 장기화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여당에 몸싸움까지 하면서 비준안을 처리할 내부 동력이 있겠느냐는 것이다. 여권에서는 “그 많던 친이계 의원들이 다 어디로 갔느냐”는 탄식까지 나오고 있다. 한·미 FTA 날치기와 12월 예정된 예산안 처리를 조율하는 것도 난제다.

내년 총선과 대선을 의식한 한나라당의 탈MB 움직임도 본격화하고 있다. ‘민본21’ 소속 초선 의원들은 ‘7·4·7’ 공약의 폐기와 민생 위기에 대한 사과를 요구하는 서신을 6일 이 대통령에게 전달하기로 했다. 친박계 홍사덕 의원(68)은 지난 2일 “이 대통령이 두 달여간에 정책변화를 이끌어내지 않는다면 우리가 ‘어떤 선택’을 해도 국민이 납득하지 않겠나”라고 경고했다.

박원순 서울시장(55)의 실험은 부담으로 돌아오고 있다. 박 시장은 전날 서울시립대 반값 등록금을 시행하기로 했다. 4일에는 서울시와 산하기관의 비정규직 직원 2800명을 서울시 예산을 통해 내년부터 단계적으로 정규직화하겠다는 방침이 나왔다. 이 대통령과 정부가 재정을 이유로 실행에 옮기지 못한 정책들을 박 시장은 선도적으로 실천하고 있는 모습이다. 이 대통령의 친서민 구호가 말뿐이었음이 증명되면서 무색해질 수도 있는 상황이 된 것이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