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온, 튀르키예 공장 ‘철회 검토’…지갑 잠그는 배터리·반도체 업계

2023.01.09 22:00 입력 2023.01.09 22:02 수정

포드와 합작공장 사업 ‘지지부진’

글로벌 경기 침체에 소극적 행보

업계 “삼성전자도 투자 축소 소문”

글로벌 경기 침체로 국내외 투자계획을 전면 재검토하거나 축소하는 배터리·반도체 기업이 늘고 있다. 지난해 시장 점유율과 공급을 늘리기 위해 수조원대의 투자를 결정했지만 글로벌 수요와 자금시장 ‘동반 위축’으로 사업성에 먹구름이 드리워지면서 소극적 행보로 돌아서는 모습이다.

9일 배터리 업계에 따르면 SK온이 미국 자동차 업체 포드, 현지 제조업체 코치와 튀르키예에 짓기로 한 전기차 배터리 합작공장 사업이 난항을 겪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세 업체는 지난 3월 튀르키예 앙카라 인근에 합작공장을 지어 2025년부터 연 30~45GWh 규모의 배터리를 양산하기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투자 금액은 3조~4조원 규모다.

SK온 관계자는 “2자도 아니고 3자 합작법인이다 보니 협상이 지지부진한 것은 맞다”며 “아직 (투자계획이) 철회된 건 아니지만 옵션 중 하나로 고려 중”이라고 밝혔다.

투자를 선뜻 결정하지 못하는 것은 고금리로 인해 글로벌 자금시장이 위축되면서 배터리 사업 전망에도 먹구름이 드리운 탓으로 보인다. LG에너지솔루션도 지난해 6월 미국 애리조나 단독공장 투자에 재검토 결정을 내린 후 해를 넘길 때까지 투자 여부를 확정하지 못했다.

수요 문제도 있다. 튀르키예 배터리 공장은 포드의 유럽 진출을 앞두고 전초기지 역할을 도맡을 예정이었다. 하지만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유럽의 에너지 가격과 전기요금이 오르면서 전기차 수요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일각에서는 포드와 SK온이 사업성이 불투명해진 유럽 대신 전기차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는 북미 지역을 집중 공략하려는 행보라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실제 두 업체의 북미 배터리 합작법인(JV) 블루오벌SK는 지난달 미국 켄터키주에서 첫 삽을 떴다.

10조원을 투자한 이 합작법인은 켄터키에서 1·2공장을 짓고 있으며 테네시에도 조만간 착공할 예정이다. 미국은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같은 제도적 혜택까지 갖춰졌기 때문에 업계가 ‘선택과 집중’을 하고 있는 것이다. LG화학도 테네시에 4조원을 들여 배터리 핵심 소재인 양극재 공장을 지을 예정이다. LG화학 관계자는 “(투자계획은) 절차대로 진행 중”이라고 전했다.

지난해 말 재고 급증을 겪은 반도체 업계도 투자 축소를 고민하고 있다. 노종원 SK하이닉스 사장은 지난해 3분기 콘퍼런스콜에서 “내년 투자는 올해 대비 50% 이상 감축하는 것을 고려하고 있다”며 “금융위기였던 2008~2009년 업계 설비투자비 절감률에 버금가는 상당한 수준의 투자 축소가 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특히 메모리 반도체의 경우 지난해 하반기부터 업황이 급속도로 악화돼 삼성전자의 4분기 ‘어닝쇼크’를 촉발하는 등 후폭풍이 큰 상태다.

업계 관계자는 “그동안 ‘감산은 없다’며 투자를 줄이는 데 적극적이지 않았던 삼성전자마저도 최근 메모리 관련 투자를 축소한다는 소문이 증권가를 중심으로 돌고 있다”고 말했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