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지하철 노사, 퇴직수당 등 협상 막판 진통

2013.12.17 22:32

18일 파업 예고…서울시 “파업해도 당분간 정상운행”

서울지하철 1~4호선을 운영하는 서울메트로 노사는 노조가 예고한 파업일을 하루 앞둔 17일 밤 늦게까지 줄다리기 협상을 계속했다. 서울시는 노조가 파업에 돌입하더라도 당분간 열차 운행에는 차질이 없다고 밝혔다.

노사 양측은 지난 16일 오후 4시에 교섭을 재개해 이날 오전 7시까지 논의를 이어갔다. 양측은 이날 새벽에 핵심 쟁점인 퇴직수당 보전, 정년 연장, 승진 적체 해소 등에서 이견을 좁혀 한때 협상이 타결되는 듯했으나 결국 합의점을 찾지 못했다. 노조는 협상결렬을 선언했고 양측은 이날 오후 10시 넘어서야 협상을 재개했지만 진통이 계속되고 있다.

서울메트로 협상의 가장 큰 쟁점은 지난해 노사합의를 통해 폐지키로 한 퇴직수당을 어떻게 보전할 것인지다. 노사정모델협의회는 노사의 의뢰를 받은 연구용역을 통해 퇴직수당의 50%가량을 보전하는 것이 타당하다는 가이드라인을 제시했다. 그러나 보전 방식을 놓고 호봉 인상을 통한 임금성 보전을 요구하는 노조 측과 복지포인트를 통한 보전을 요구하는 사측의 입장 차이가 크다. 노사는 임금성 인상과 복지포인트를 절충하는 방안에 대해서도 협상을 벌이고 있다. 승진 적체 해소의 경우 사측도 노조의 주장에 공감하지만, 정확한 시행 시기와 방안을 놓고 맞서고 있다. 1955~1957년생을 대상으로 연장된 공무원 정년에 맞춰 정년을 변경하기로 했으나, 연장 방식을 두고 입장 차이가 있다.

코레일 철도파업과 맞물리면서 노조 내 입장도 엇갈린다. 서울메트로의 제1노조인 ‘서울지하철노조’ 내에서는 철도노조의 파업에 힘을 실어주자는 주장이 제기되면서 내부 의견을 조율하기도 했다. 또 국민노총 소속으로 제2노조인 ‘서울메트로지하철노조’는 철도노조와의 연대 파업에 대해 선을 긋고 있다.

서울메트로 파업이 현실화되면 코레일 노조의 파업과 맞물려 수도권 전철 운영에 차질이 예상된다. 서울시는 파업 시작일부터 7일째까지는 필수유지업무와 대체인력 근무자로 열차를 정상 운행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지만, 8일째부터는 본격적으로 운행이 줄어들 것으로 보고 대책을 마련했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