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마지막 남산 ‘시민아파트’…전망공원·주차장 등 복합공간 탈바꿈

2024.06.13 09:52 입력 2024.06.13 15:42 수정

서울 회현제2시민아파트 부지에 들어설 복합공간 조감도. 서울시 제공

서울 회현제2시민아파트 부지에 들어설 복합공간 조감도. 서울시 제공

지은지 54년 된 서울 중구 ‘회현제2시민아파트’가 남산 전망의 복합공간으로 재탄생한다.

‘시민아파트’는 1960~1970년대 서울 시내 무허가 건물 정비를 위해 건축한 공동주택으로 이곳은 서울에 남은 마지막 시민아파트다.

서울시는 회현제2시민아파트(회현동 147-23번지) 도시계획 시설 결정을 위한 회현동 일대 지구단위계획 결정(변경)안 공람공고를 시작한다고 13일 밝혔다. 14일간 공고 후 지구단위계획 결정 절차에 들어가 내년 실시계획 인가, 2026년 상반기 내 토지 등 수용 후 착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회현제2시민아파트는 서울시가 고지대 무허가 건물을 정리하겠다는 취지로 국·공유지에 건립한 시민아파트 중 하나다. 하지만 마포구 창전동에 지은 ‘와우아파트’가 1970년 붕괴되면서 33명이 사망하는 참사가 발생한 후 시민아파트 건설이 중단됐다. 저렴한 예산으로 빨리 지으려다 보니 부실 공사가 이뤄진 탓이다. 서울시는 1997년부터 시민아파트 433개동, 1만7050가구를 매입·철거했고, 회현제2시민아파트 1개 동만 유일하게 남아있었다.

해당 아파트 역시 2004년 정밀안전진단 결과 D등급 위험시설로 분류됐고, 2006년 보상계획 공고를 통해 주민동의 방식(건물 매입 후 철거) 정리사업을 추진했다. 2016~2021년 리모델링이 검토되기도 했으나 주민간담회, 설문조사 등을 거쳐 정리사업을 다시 추진하기로 했다.

현재 352가구 중 325가구의 보상·이주(계약 포함)가 완료됐고, 아직 협의·보상에 응하지 않은 가구는 도시계획시설사업이 실시되기 전까지 이주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시민아파트가 철거된 부지에는 지하 2층·지상 4층 규모 복합공간이 조성된다.

소파로변에서 바로 진입 가능하고 남산공원 끝자락에 있는 지형을 살려 상부(4층)에는 전망공원과 테라스를 만든다. 서울 도심을 한눈에 감상할 수는 공간이 될 예정이다. 야외공연과 이벤트도 열 수 있게 꾸민다.

3층에는 북카페, 키즈카페, 휴게 라운지 등을 갖춘 다목적 문화공간 ‘남산 라운지’가 들어선다.

지하 2층과 지상 2층은 주차공간으로 활용한다. 현재 남산공원 일대 도로변에 대형버스가 주차해 보행자의 안전을 위협하고 미관을 해치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대형버스 주차공간을 조성한다. 버스 기사들을 위한 휴게 공간도 함께 만들어진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