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수본, 서울경찰청·용산서·소방재난본부 등 7곳 압수수색

2022.11.02 21:12 입력 2022.11.02 23:02 수정

경찰·지자체 ‘직무유기’ 규명 중점

112신고에 부실 대응 경위도 따져

‘늑장 보고’ 용산서장은 대기발령

경찰청 특별수사본부(특수본)가 이태원 핼러윈 참사와 관련해 본격적인 강제수사에 돌입했다. 특수본은 2일 서울경찰청과 용산경찰서, 용산구청, 서울소방재난본부 방재센터, 용산소방서, 서울교통공사 안전관리본부, 이태원역, 다산콜센터 등 7곳을 동시에 압수수색해 이번 참사와 관련한 자료를 확보했다.

특수본은 참사 발생 당일 경찰과 지자체의 직무유기 여부를 규명하는 데 수사력을 집중하고 있다. 먼저 서울경찰청과 용산경찰서, 이태원 핼러윈 축제 현장에 파견된 일선 경찰들이 왜 상황 관리에 실패했는지 살펴보고 있다. 사상 최대 인파가 몰릴 것이라는 여러 징후와 전조가 있었음에도 관리 인력을 충분히 투입하지 않은 경위도 조사하고 있다. 특히 참사 발생 4시간 전부터 ‘압사 발생 가능성’을 알리는 112신고를 접수하고도 ‘늑장 대응’을 한 이유와 책임 소재를 가리는 데 주력하고 있다.

참사 당일 용산경찰서장이 상부에 ‘늑장 보고’한 점도 주요한 수사 대상이다. 이임재 용산서장은 지난달 29일 참사 발생 직후 현장에 도착했지만, 그로부터 1시간21분이 지난 오후 11시36분에야 김광호 서울경찰청장에게 사고 내용을 보고했다. 자택에 있던 김 청장은 그제야 사고 발생 사실을 인지했다. 사고 발생 사실이 언론에도 알려진 뒤였다. 경찰의 기강과 보고체계가 무너진 것이다. 경찰청은 이날 이 서장을 대기발령 조치했다.

특수본은 서울시의 책임 소재도 들여다보고 있다. 특수본이 이날 압수수색한 7곳 중 서울교통공사 안전관리본부, 서울소방재난본부 방재센터, 용산소방서, 다산콜센터 등 4곳은 서울시 산하기관이다. 여기에 더해 이태원역을 상대로도 강제수사가 불가피해 보인다.

서울교통공사와 이태원역은 참사 당일 오후 9시38분 경찰이 인파 통제를 위해 ‘무정차 통과’를 요청했음에도 이행하지 않았다는 지적을 받는다. 서울종합방재센터와 다산콜센터 등은 참사 당일 관련 신고를 접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수본은 참사 원인 규명에도 주력하고 있다. 우선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올라온 참사 당시 영상을 집중 분석하는 등 당일 상황을 재구성하고 있다. 특수본은 참사 피해자에 대한 명예훼손 사건 수사도 벌이고 있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