힘받는 문 대통령 ‘중재 외교’, 내주 유엔총회까지 이어진다

2018.09.20 22:06 입력 2018.09.20 23:19 수정

“합의문에 담지 않은 내용

트럼프 대통령 만나 전달”

‘한반도 평화 로드맵’ 논의

중·일 연쇄회담 물꼬 기대

<b>“서울에서 만납시다”</b> 문재인 대통령 내외가 20일 방북 일정을 마치고 공군 2호기에 탑승하기 전 삼지연공항에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내외의 환송을 받고 있다. 평양사진공동취재단·서성일 기자 centing@kyunghyang.com

“서울에서 만납시다” 문재인 대통령 내외가 20일 방북 일정을 마치고 공군 2호기에 탑승하기 전 삼지연공항에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내외의 환송을 받고 있다. 평양사진공동취재단·서성일 기자 centing@kyunghyang.com

문재인 대통령이 북한 방문을 마치고 돌아오며 다음주 뉴욕에서 열리는 유엔총회에 시선이 쏠리고 있다. 문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한·미 정상회담이 예정돼 있기 때문이다. 문 대통령이 2박3일간 방북을 통해 확인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비핵화 의지를 트럼프 대통령에게 전달하는 자리인 만큼 이번 만남은 비핵화 프로세스의 중요한 고비가 될 것으로 보인다.

문 대통령은 20일 서울 도착 직후 동대문디자인플라자 메인프레스센터를 찾아 대국민 보고를 갖고 “김 위원장과 논의한 내용 중 합의문에 담지 않은 내용들도 있다. 그런 부분은 제가 방미해서 트럼프 대통령과 다시 정상회담을 갖게 되면 그때 미국 측에 상세한 내용을 전해줄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어 “미국 측은 우리를 통해 북에 메시지를 전달하고 싶어 하는 게 있고 그에 대한 답을 듣길 원한다. 반대로 북측도 우리를 통해 미국에 메시지 전하고자 하는 것이 있다”며 “그런 역할을, 트럼프 대통령을 만나 충실하게 전함으로써, 북·미 간 대화를 촉진시켜 나가려고 한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추석 연휴 기간인 오는 23일 뉴욕으로 향한다. 다자회의를 계기로 열리는 양자 정상회담이 20~30분간 약식으로 이뤄지지만, 24일 한·미 정상회담은 정식 양자회담처럼 길어질 가능성이 높다.

<b>북 매체들 ‘9월 평양공동선언’ 전문 실어</b> 북한 노동신문은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합의한 ‘9월 평양공동선언’의 전체 내용을 보도했다. 전날 남측이 공개한 전문과 비교하면 ‘남과 북’ 대신 ‘북과 남’으로 표현한 것을 비롯해 정상(수뇌), 흩어진 가족(이산가족), 발동기(엔진) 등 북측이 고유하게 사용하는 표현만 다를 뿐 내용은 전날 발표된 것과 동일했다. 연합뉴스

북 매체들 ‘9월 평양공동선언’ 전문 실어 북한 노동신문은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합의한 ‘9월 평양공동선언’의 전체 내용을 보도했다. 전날 남측이 공개한 전문과 비교하면 ‘남과 북’ 대신 ‘북과 남’으로 표현한 것을 비롯해 정상(수뇌), 흩어진 가족(이산가족), 발동기(엔진) 등 북측이 고유하게 사용하는 표현만 다를 뿐 내용은 전날 발표된 것과 동일했다. 연합뉴스

문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을 상대로 조속한 시일 내로 2차 북·미 정상회담을 개최할 필요성을 설득할 예정이다. 트럼프 대통령이 전날 평양공동선언을 “매우 좋은 소식” “엄청난 진전”이라 평가하고, 각급의 북·미 고위급 협상을 즉시 재개하기로 한 상황에서 문 대통령은 얘기를 꺼내기가 수월해진 것으로 여겨진다. 문 대통령은 25일 또는 26일 기조연설에서 남북 정상이 ‘9월 평양공동선언’을 통해 발신한 메시지와 비슷한 취지의 메시지를 던질 것으로 보인다. ‘남북 주도로 한반도 평화를 일구겠다’는 것이다.

일단 정부는 당초 목표로 했던 25~28일 유엔총회 고위급 회의 기간 중 남·북·미 또는 남·북·미·중 정상의 종전선언은 어렵게 됐지만, 이번 남북정상회담을 통해 다시 한번 한반도 평화의 불씨를 살리게 된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이도훈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은 “마이크 폼페이오 장관이 내주 유엔총회를 계기로 뉴욕에서 리용호 북한 외무상과의 북·미 고위급회담이 잘 이뤄지면 2차 북·미 정상회담도 쉽게 이뤄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 등 유엔총회에 참석하는 주변국 정상들과도 별도로 만나 방북 결과를 설명할 것으로 예상된다. 유엔총회가 평양 남북정상회담으로 마련된 비핵화 논의를 이어받아 한반도 평화 로드맵을 논의하는 장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