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대통령 “소원 이뤘다” 김 위원장 “사진 찍어 드릴까요”

2018.09.20 22:11 입력 2018.09.21 10:21 수정

백두산서 90분 머물러…문 “남쪽 국민도 관광 올 수 있는 시대 곧 오리라 믿어”

김정숙, 한라산·천지물 ‘합수’…리설주 “백두에서 해맞이, 한라에서 통일맞이”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20일 함께 오른 백두산 장군봉에서 바라본 천지(天池). 문 대통령과 김 위원장 내외가 찾은 이날 날씨가 맑아 파란 천지 뒤로 병풍처럼 둘러선 백두산의 준봉들이 선명하게 보인다. 평양사진공동취재단·서성일 기자 centing@kyunghyang.com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20일 함께 오른 백두산 장군봉에서 바라본 천지(天池). 문 대통령과 김 위원장 내외가 찾은 이날 날씨가 맑아 파란 천지 뒤로 병풍처럼 둘러선 백두산의 준봉들이 선명하게 보인다. 평양사진공동취재단·서성일 기자 centing@kyunghyang.com

문재인 대통령이 “반드시 우리 땅으로 해서 백두산 정상에 오르겠다”고 했던 소원을 성취했다. 2박3일 방북 기간 대부분 시간을 같이 보낸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함께였다. 두 정상은 남북 통틀어 최고봉인 백두산 장군봉(2744m)에서 함께 손을 맞잡고 기념사진을 찍는가 하면 삭도열차(케이블카)를 타고 천지에 내려가면서 대화를 나누기도 했다. 전 세계의 이목을 집중시킨 ‘4·27 판문점 도보다리 대화’에 이은 ‘백두산 정상 대화’는 이날 1시간30분 동안 진행됐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전 6시39분 백두산에 오르기 위해 숙소인 평양 백화원 영빈관을 출발했다. 문 대통령과 김 위원장은 각자 전용기로 평양국제비행장을 출발했다. 삼지연 공항에 먼저 도착해 있던 김 위원장 내외는 오전 8시20분쯤 대한민국 공군 2호기에서 내린 문 대통령 내외를 영접했다.

<b>“우리 땅으로 오르겠다 다짐했었는데” 꿈이 현실로</b> 문재인 대통령이 20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내외와 백두산 천지를 산책하다 천지 물을 물병에 담고 있다. 평양사진공동취재단·서성일 기자

“우리 땅으로 오르겠다 다짐했었는데” 꿈이 현실로 문재인 대통령이 20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내외와 백두산 천지를 산책하다 천지 물을 물병에 담고 있다. 평양사진공동취재단·서성일 기자

두 정상 내외는 준비된 승용차에 각자 탑승해 백두산으로 향했고, 한 시간쯤 뒤인 오전 9시30분쯤 백두산 천지가 내려다보이는 장군봉에 동시에 도착했다. 문 대통령은 천지를 내려다보면서 김 위원장에게 “나는 중국으로 가지 않겠다, 반드시 나는 우리 땅으로 해서 오르겠다 다짐했는데, 그런 세월이 금방 올 것 같더니 멀어졌다. 그래서 영 못 오르나 했었는데 소원이 이뤄졌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중국 사람들이 부러워한다. 중국 쪽에서는 천지를 못 내려간다. 우리는 내려갈 수 있다”며 “백두산 천지의 물이 마르지 않도록 이 천지 물에 담가서 앞으로 북남 간의 새로운 역사를 또 써 나가야겠다”고 답했다. 이어 “오늘은 적은 인원이 왔지만 앞으로는 남측 인원들, 해외동포들 와서 백두산을 봐야지요. 분단 이후에는 남쪽에서는 그저 바라만 보는 그리움의 산이 됐으니까”라고 했다. 이에 문 대통령은 “이제 첫걸음이 시작됐으니 이 걸음이 되풀이되면 더 많은 사람들이 오게 되고, 남쪽 일반 국민들도 백두산으로 관광 올 수 있는 시대가 곧 올 것으로 믿는다”고 답했다.

문재인 대통령 내외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내외가 20일 백두산 장군봉을 방문한 뒤 천지로 이동하기 위해 케이블카를 함께 타고 가면서 이야기하고 있다. 평양사진공동취재단·서성일 기자

문재인 대통령 내외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내외가 20일 백두산 장군봉을 방문한 뒤 천지로 이동하기 위해 케이블카를 함께 타고 가면서 이야기하고 있다. 평양사진공동취재단·서성일 기자

김 위원장은 즉석에서 천지를 배경으로 문 대통령과 수행원들의 기념촬영을 해주겠다고 제안했다. 이에 남측 수행원들은 “아이고 무슨 말씀을…”이라면서 크게 웃으며 사양하기도 했다. 두 정상은 양측 수행원들과 번갈아가며 기념사진을 찍었다.

<b>물에 젖을까…코트 잡아주는 리설주 여사</b> 리설주 여사가 20일 물병에 담아온 한라산 백록담 물을 붓고 백두산 천지 물을 담고 있는 김정숙 여사의 코트가 젖지 않도록 옷자락을 잡아주고 있다. 평양사진공동취재단·서성일 기자

물에 젖을까…코트 잡아주는 리설주 여사 리설주 여사가 20일 물병에 담아온 한라산 백록담 물을 붓고 백두산 천지 물을 담고 있는 김정숙 여사의 코트가 젖지 않도록 옷자락을 잡아주고 있다. 평양사진공동취재단·서성일 기자

리설주 여사는 “우리나라 옛말에 백두에서 해맞이를 하고, 한라에서 통일을 맞이한다는 말이 있다”고 말했다. 김정숙 여사는 “한라산 물을 갖고 왔다”며 “천지에 가서 반은 붓고 반은 백두산 물을 담아갈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김 여사는 미리 물이 반쯤 담긴 생수병을 가져왔다. 청와대 관계자는 김 여사가 제주도 물을 채워왔고, 천지로 내려간 뒤 일부를 뿌리고 천지 물을 담아 합수할 생각으로 병을 가져왔다고 설명했다. 문 대통령 내외는 천지 물가로 갔고, 실제로 가져온 물을 붓고 천지 물을 담았다.

특별수행원 자격으로 방북한 가수 알리는 천지 앞에서 기념촬영을 마친 문 대통령 내외와 김 위원장 내외 앞에서 ‘진도아리랑’을 부르는 등 즉석공연을 했다. 문 대통령을 비롯한 대부분 참가자가 후렴 부분을 따라 불렀고 북측 인사 중에서는 리설주 여사가 후렴구를 따라 부르는 모습이 카메라에 잡혔다. 김 위원장도 박수를 쳤다.

두 정상의 백두산행은 비밀리에 준비된 친교 행사였다. 기상 상황, 정상회담 분위기 등 변수가 있었기 때문에 100% 실행할 수 있다는 확신은 없었다고 한다. 하지만 ‘9월 평양공동선언’의 무난한 도출에 이어 날씨가 도와준 덕분에 백두산 등정이 가능해졌고, 회담의 화룡점정이 됐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