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박-친박 ‘공천룰’ 일단 봉합

2015.12.07 22:51 입력 2015.12.07 22:57 수정

새누리당이 7일 당내 경선 결선투표제 도입 등 내년 4·13 총선 후보자를 결정하는 ‘공천룰’의 큰 틀을 공식 발표했다. 구체적인 룰을 정할 당내 특별기구도 발족한다. 당 지도부 간 합의로 친박계와 비박계 간 갈등을 일단 봉합했지만, 향후 세부적인 룰을 두고 다시 힘겨루기에 들어갈 공산이 커 보인다.

김무성 대표는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전날 밤 최고위원 간 만찬을 언급하며 친박계 서청원 최고위원을 포함한 당 지도부의 합의 내용을 발표했다. 합의 내용은 양측 입장을 절충한 형태다. 핵심 쟁점이던 당내 경선 ‘당원 대 국민’ 비율은 친박계 요구대로 당헌·당규상의 ‘50 대 50’을 기본으로 하되, 김 대표가 주장한 국민 비율 확대를 고려해 ‘상황에 따라’ 조율하기로 했다. 친박계가 요구한 결선투표제도 도입하기로 했다. 갈등을 빚어 온 특별기구 위원장은 김 대표 주장대로 황진하 사무총장이 맡기로 했다.

주고받기에 대한 셈법은 엇갈린다. 친박계가 주장한 전략공천과 현역 ‘컷오프’ 도입이 합의에서 빠져 ‘인위적 물갈이’에 반대한 김 대표 체면을 살렸다. 김 대표는 전날 회동에서 김태호 최고위원이 전략공천을 주장하자 “나를 밟고 가라”며 강하게 반대한 것으로 전해졌다.

국민 참여 비율 확대 가능성에도 청신호가 켜졌다. 하지만 김 대표는 “정치생명을 걸겠다”고 공언한 ‘오픈프라이머리(완전국민경선제)’를 내려놓은 데 이어 이번에도 확대 비율을 명확히 못 박지는 못했다. 이 때문에 일각에서 ‘결국 후퇴’라는 지적이 나온다. 김 대표는 이날 회의 뒤 기자들과 만나 “합리적 합의를 본 것으로 누구의 양보 (같은) 이야기는 맞지 않다”고 말했다.

갈등의 불씨는 살아 있다. 김 최고위원은 회의에서 재차 전략공천과 컷오프 도입을 주장했다. 특별기구 논의사항으로 넘긴 쟁점들도 걸린다. ‘당원 대 국민’ 비율은 어떤 경우 어떻게 조정할 것인지가 미합의 상태다. 1차 경선으로 1·2위 후보를 추려 다시 경선을 치르는 결선투표제는 1·2위 후보 지지율이 오차범위 내인 경우로 범위를 좁힐지, 과반 득표자가 없는 경우로 넓힐지를 두고 충돌 여지가 남아 있다.

당내 일부에선 ‘결선투표제 악용’ 우려도 제기된다. ‘물갈이설’이 돌았던 ‘대구·경북(TK)’에서 나머지 후보들의 합종연횡이 일어나며, ‘비박계 현역 물갈이’에 활용될 소지가 있다는 것이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