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에서도 전문가 상담 등 사후 대책 없었다

2012.01.03 00:05 입력 2012.01.03 00:16 수정

지난달 29일 한 학생이 자살한 광주 ㅈ중학교가 사건이 발생한 지 나흘이나 지났는데도 교육과학기술부가 정한 위기상황 매뉴얼을 지키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광주시교육청은 특별감사에 나섰다.

학교는 학생 자살 사건이 발생할 경우 곧바로 지역교육청에 보고하고 학교장·학부모·지역사회 전문가 등으로 이뤄진 위기관리위원회를 열어 사후대응을 마련해야 한다. 전체 학생을 대상으로 생명존중·자아존중감 교육도 실시해야 한다. 특히 자살한 학생과 가까운 친구와 자살에 이르게 된 원인을 제공한 친구 등을 집단·개별적으로 심층 면접하고 상담교사나 임상심리사가 외상후스트레스장애를 측정하는 일도 필요하다. 이후 심리적 충격이 큰 것으로 판단된 학생은 위기학생으로 분류, 전문가에게 상담을 의뢰하도록 돼 있다.

그러나 이 학교는 위기관리위원회·교육·심리상담 등을 실시하지 않았다. 오히려 지난달 31일로 예정된 방학을 일방적으로 하루 앞당겼다. 이 때문에 학교 측이 사태를 은폐하려 했다는 비난까지 사고 있다.

학교 측은 “학생들이 혼란스러워할 수 있고, 외부에 불필요한 오해가 전파될 수 있어 급히 방학을 하게 된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광주시교육청은 지난해 3월과 9월 학교별 담당교사를 불러 생명존중교육과 함께 이 같은 내용을 전달했다. 4~5월에도 전문강사를 각 학교에 보내 같은 내용을 교육하면서 만일의 사태에 대비토록 했다. 광주시교육청은 이 학교가 수차례의 교육과 지침에도 불구하고 자살사건 발생 이후 이를 지키지 않은 것으로 확인했다. 시교육청은 이 부분에 대한 책임을 묻기 위해 특별감사를 벌이고 있다.

이 밖에 이 학교에는 전문상담교사도 없었다. 학교 측은 전문교사를 채용하는 데 드는 인건비 3000여만원이 부담스러운 데다 상담교사 배치를 공약으로 내세운 장휘국 교육감이 해결해줄 것이라고 기대했다고 해명했다. 이 학교는 광주시내에서 재력이 든든한 사립학교로 꼽힌다.

광주시교육청 인성교육팀 장만금 장학사는 “이 학교의 사후 대응이 너무 안일하고 만족스럽지 못해 안타깝다”고 말했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