땅값 비싼 명동, 화재 안전은 ‘최하위’

2015.07.29 21:48 입력 2015.07.29 22:08 수정
김창영 기자

국민안전처 지역 안전지수 첫 공개

서울 중구 ‘5등급’… “안전도시” 외친 부산도 기대 이하

“지역 안전수준 개선 계기”…일각선 ‘낙인 효과’ 우려도

국민안전처가 29일 공개한 지역별 화재·교통사고 분야 안전지수 평가는 국민들에게 각 지역별로 위험도를 알려 주민들의 자발적 노력과 투자를 이끌어 내겠다는 취지에서 마련됐다. 효율적인 안전대책 수립과 시행에 도움이 될 것으로 안전처는 판단하고 있다.

일본과 네덜란드 등 해외에서도 지역별 안전지수를 시민들에게 제공하고 있지만 이는 분야·지역별로 제한하고 있다. 국내처럼 모든 지자체를 대상으로 안전 전반에 대한 지수를 산출하고 이를 분석, 공개하는 나라는 아직 없다. 안전처는 오는 10월까지 자연재해, 범죄, 안전사고, 감염병 등 5개 분야도 추가 공개할 예정이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낙인 효과’로 지역 슬럼화 및 부동산 가격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땅값 비싼 명동, 화재 안전은 ‘최하위’

평가 결과 땅값과 안전등급은 무관한 것으로 파악됐다. 명동이 위치한 중구는 화재 분야에서 최하위인 5등급을 받았다. 서울 서초·강남구는 화재 분야에서 2등급, 교통사고 분야에서는 강남구가 2등급, 서초구가 3등급으로 각각 조사됐다.

반면 경기 수원과 부천시, 부산 기장군과 충북 증평군 등은 2개 분야에서 모두 1등급을 받았다.

안전도시를 표방하며 지난해부터 대대적인 교통사고 줄이기 운동을 벌이고 있는 부산시는 교통사고 분야에서 3등급으로 평가돼 구호에 크게 못 미치는 성적표를 받게 됐다. 두 분야 모두 최하위 등급을 받은 곳은 8개 특별·광역시 중에서는 세종시, 9개 도 가운데는 전남도뿐이다. 광주는 화재는 2등급을 받았지만 교통사고는 4등급에 그쳤다.

‘낙인 효과’ 우려에 대해 안전처 관계자는 “어느 한 개인에 대한 문제라면 그러한 효과가 있을 수 있지만 지역의 다양한 구성원들은 지역안전수준 개선을 위해 지금보다 더욱 노력하는 결과를 낳게 될 것이다. 더욱이 5개 등급으로 공개되기 때문에 특정지역에 대한 낙인 효과는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안전처는 중·하위 등급 자치단체 가운데 4곳을 뽑아 위험·안전 요인을 정밀 진단하고 대응 역량 강화 방안을 제시하는 컨설팅을 지원할 예정이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