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태일과 김용균

2018.12.31 20:25 입력 2018.12.31 20:26 수정

내 인생의 책 한 권을 고르라고 한다면 나는 고등학생 때 읽었던 <전태일 평전>을 손에 꼽는다. 이 책은 내가 태어나던 해에 자신의 몸을 불태워 개발 근대의 노동 착취에 항거했던 한 젊은 노동자의 짧은 생애에 관한 책이다. 이 책에는 두 권의 의미 있는 책이 등장한다. 하나는 통신교육용 교재 <중학1>이고, 다른 하나는 <근로기준법해설서>이다.

[세상읽기]전태일과 김용균

1967년 2월 전태일은 재단사로 승진한다. 시다 일을 하던 때와 비교해 경제적 여건이 조금 나아지면서 그는 못 배운 한을 풀기 위해 석유곤로 등 세간살이를 팔아 중고등통신강의록 <중학1>을 구입한다. 그는 일기에 “남은 다 하는데 나라고 못할 리가 어디 있어 해보자. 그리고 내년 3월 달에는 꼭 대학입시를 보자. 앞으로 376일 남았구나 1년하고 10일 재단을 하면서 하루에 저녁 2시간씩만 공부하면 내년에는 대학입시를 보겠지. 해보자. 해라”라고 썼다. 그에게 배움이란 가난과 못 배운 자에 대한 설움을 털어낼 수 있는 기회였으며, 사회의 일원으로 떳떳하게 입신양명할 수 있는 도전이었다.

그러나 전태일이 꿈꿨던 자기계발의 강렬한 소망은 엄혹한 노동현실 속에서 성취하기에는 너무나 어려운 꿈이었다. 자신도 가난했지만, 주변의 어린 여성 노동자들이 열악한 노동조건과 환경에 시달리며 쓰러져가는 것을 지켜만 볼 수 없었던 그는 노동운동에 적극적인 관심을 가지기 시작한다. 이 무렵 전태일은 ‘근로자의 생활을 보장하고 향상’시키기 위한 근로기준법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그는 어머니에게 빚을 내어 책 한 권을 사달라고 졸랐다. 그 책은 어느 노동법학자가 쓴 <근로기준법해설서>였다. 노동자를 위한 법이 있다는 사실만으로도 전태일은 한 가닥 희망을 품었다. 그날 이후 그는 시간만 나면 그 책을 읽고 또 읽었다.

펜은 칼보다 강하다고 하지만, 주먹은 법보다 가까웠다. 전태일은 1969년 6월 동료 노동자들과 함께 ‘바보회’를 만들어 평화시장의 노동환경을 조사하며 근로기준법의 내용을 알리고 다녔다. 그러나 이 사실이 알려지면서 전태일은 해고되었고, 다시는 평화시장에서 일할 수 없게 되었다. 법과 국가에 대해 소박한 믿음을 품었던 전태일은 분신을 결심하기 전 대통령에게 편지를 보내려고 했었다. 대통령께 드리는 편지 속에서 그는 “각하께선 국부이십니다. 저희들의 아버님이십니다. 소자된 도리로서 아픈 곳을 알리지도 않고 아버님을 원망한다면 도리에 틀린 일입니다”라고 썼다. 이 땅의 노동자들이 처해 있는 참혹한 현실에 대해 대통령이 알게 된다면, 이런 사실이 사회에 알려진다면 노동청의 근로감독관이 외면했던 문제가 해결될지 모른다고 생각했던 것이다. 그러나 이 편지는 끝끝내 전해지지 않았다.

1970년 11월13일, 전태일은 그가 희망을 걸었던 ‘근로기준법’에 대한 화형식을 벌이려고 했다. 경찰의 방해로 시위가 무산되려는 상황에 처하자 그는 스스로의 몸에 기름을 끼얹고 불을 붙인 채 “근로기준법을 준수하라! 우리는 기계가 아니다!”라는 구호를 외치며 쓰러졌다. 그로부터 어느덧 반세기가 흘러가고 있다. 그사이 또 한 명의 노동자가 대통령을 만나고 싶어 했다. 그러나 그 역시 대통령을 만나지 못하고 죽었다. 그는 컨베이어벨트에 끼여 처참하게 숨졌다. 그 외에도 수많은 노동자들이 죽어가고 있다. 최근 5년간(2012~2016) 노동자 10만명당 치명적 산업재해 수에서 한국은 2위인 멕시코 8.50명보다 높은 11.35명으로 세계 최고를 기록하고 있다.

“저는 우리나라를 저주합니다”라고 노동자의 어머니가 절규한다. ‘김용균법’이 통과되었다한들 이 국가, 이 사회가 젊은이의 희생, 노동자의 목숨을 갈아 넣어야만 돌아가는 살인기계인 이상 멈출 리 없다. 법안이 통과되자마자 기업 경영하기 어렵다는 기사가 쏟아져 나올 것이다. 그러나 그들조차 ‘김용균법’보다 더 철저하게 지켜져야 할 ‘근로기준법’조차 지켜지지 않는 현실을 이미 알고 있을 것이다.

노동자라면, 국민이라면 누구나 알고 있다. 법은 이미 존재한다. 다만 없는 자에게는 가혹하고, 가진 자에게는 너그러운 법이, 그런 국가가 있을 뿐이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