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나서 AI반도체 생태계 키운다···2030년까지 8262억 투입

2022.12.12 14:17 입력 2022.12.12 14:43 수정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정부가 인공지능(AI) 반도체 생태계를 키우기 위해 2030년까지 8262억원을 투자한다. 초고속·저전력 국산 AI 반도체를 개발해 데이터센터에 적용하고 이를 직접 실증하는 ‘K-클라우드’를 육성할 계획이다.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12일 경기 성남시 경기창조경제혁신센터에서 2차 AI 반도체 최고위 전략대화를 열어 ‘국산 AI 반도체를 활용한 K-클라우드 추진방안’을 발표했다.

이날 전략대화에는 이 장관을 비롯해 삼성전자·SK하이닉스 등 메모리 반도체 대기업, 사피온·퓨리오사AI·리벨리온·딥엑스·텔레칩스 등 국내 AI 반도체 기업, NHN·KT·네이버 등 클라우드 기업 등이 참석했다.

반도체는 데이터센터의 성능 강화를 위한 핵심 요소다. 실제로 아마존(AWS) 등 글로벌 클라우드 기업은 자사 전용 AI 반도체를 적극 개발·적용함으로써 비용 절감에 나서고 있다. 이번 추진방안에는 국산 AI 반도체를 3단계에 걸쳐 고도화하는 내용이 담겼다. 기존 AI 반도체 사업을 종합·체계화해 2023~2030년에 걸쳐 총 8262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과기정통부는 2030년까지 국산 AI 반도체의 국내 데이터센터 시장 점유율을 80%까지 끌어올리기로 했다. 1단계로 2025년까지 현재 상용화 초기인 국산 NPU(신경망처리장치)의 국내 점유율을 23%까지 올릴 계획이다. NPU는 딥러닝 등 AI 알고리즘에 최적화된 프로세서로 국내 업체로는 사피온·퓨리오사AI·리벨리온 등이 상용화에 성공했다.

2단계는 2028년까지 D램 기반 지능형 반도체(PIM)과 국산 NPU를 접합해 엔비디아 등 글로벌 업체가 기술 우위를 가진 해외 GPU(그래픽처리장치)급 성능을 구현한다는 구상이다. 마지막 3단계에서는 비휘발성 메모리(NVM)을 활용해 아날로그 MAC(곱셈누적) 연산 기반의 PIM을 개발해 극저전력까지 추진하게 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과기정통부는 이를 통해 현재 미국 기술의 89.2%, 중국의 92.5% 수준으로 알려진 국산 AI 반도체 기술 수준을 미국에 버금가도록 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국산 AI 반도체를 데이터센터에 적용하는 데 필요한 추가 소프트웨어 개발 사업 추진을 위해 예비타당성 조사를 추진한다. 아직 예타 사업 예산은 확정되지 않았으나 국산 AI 반도체 개발 사업과는 별도로 최소 수백억원 이상의 예산이 책정될 전망이다. 또 기술 고도화된 AI 반도체를 국내 데이터센터에 공급하는 방식으로 시장 수요를 창출할 계획이다.

과기정통부는 국산 AI 반도체 기반의 K-클라우드 구축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기에 앞서 민·관 협업 창구 마련 및 주요 과제 발굴을 위해 ‘국산 AI 반도체 기반의 K-클라우드 얼라이언스(연합)’를 구성하기로 했다. K-클라우드 얼라이언스에는 AI 반도체 기술과 관련한 기업·협회·정부·연구기관 등 40여개 기관으로 시작하며, 향후 범위를 더 넓혀갈 계획이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