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해 은하사 목조관음보살좌상’ 등 국가유산 4건, 경남도 문화유산 지정 예고

2024.06.13 11:12

‘김해 은하사 대웅전 목조관음보살좌상’. 경남도 제공

‘김해 은하사 대웅전 목조관음보살좌상’. 경남도 제공

경남도는 ‘김해 은하사 대웅전 목조관음보살좌상’ 등 국가유산 4건을 경남도 문화유산으로 지정 예고했다고 13일 밝혔다.

도는 ‘김해 은하사 대웅전 목조관음보살좌상’ ‘김해 대광명사 목조보살좌상’을 경남도 유형문화유산으로, ‘창원 완암 동래정씨 고문서 일괄’ ‘김해 영구암 치성광여래회도 초본’을 경남도 문화유산자료로 지정 예고했다.

김해 은하사 대웅전 목조관음보살좌상은 높이 158㎝ 크기의 불상이다. 제작자와 제작 시기는 알 수 없으나 ‘장성 백양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보물·1607년) 등과 닮아 17세기 전반기 제작된 불상으로 추정된다.

김해 대광명사 목조보살좌상은 제작 시기와 봉안처를 알 수 없다. 차분한 인상·간결한 옷 주름을 근거로 학계는 17세기 대표적 조각승 희장(1639~1661)의 계보를 잇는 조각승이 제작한 것으로 추정한다.

두 작품은 조선 후기 조각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는다.

창원 완암 동래정씨 고문서 일괄은 창원 완암동에 대대로 살았던 동래정씨 집안 문서다. 19세기 자료로 창원을 중심으로 경남권에서 활동한 동래정씨 문중의 가계 양상·학맥·사회적 관계망을 알 수 있다.

김해 영구암 치성광여래회도 초본(밑그림)은 경남·부산의 근대 불교미술을 대표하는 완호 스님(1869~1933)의 가장 이른 시기 불화(1911년) 초본이라는 상징성이 있다.

경남도는 30일간의 예고 기간에 각계의 의견을 검토한 후 문화유산위원회 심의를 거쳐 지정할 예정이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