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의 봄…트럼프·김정은, 5월에 만난다

2018.03.09 21:46 입력 2018.03.09 22:43 수정
워싱턴 | 박영환 특파원·손제민 기자

방미특사단, 트럼프 면담 후 백악관 기자회견

사상 첫 북·미 정상회담…김정은 요청에 트럼프 “큰 진전” 수용

“북한의 비핵화 의지…핵·미사일 실험 자제 약속” 구두로 전달

문 대통령 “훗날 역사적 이정표로 기록될 것”…평화체제 ‘분수령’

한반도의 봄…트럼프·김정은, 5월에 만난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만남 요청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5월 안에 만나자고 화답했다. 1948년 북한 정권 수립 이후 첫 북·미 정상회담이 열리게 된 것이다. 군사적 충돌 직전까지 갔던 한반도 위기 상황은 4월 말 남북정상회담에 이은 북·미 정상회담에서 북한 핵·미사일 문제의 돌파구를 마련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나아가 1953년 이후 65년간 지속된 정전 상태를 종식하고 평화 시대가 막을 여는 ‘한반도의 봄’이 올지, 한반도는 역사적인 분기점을 맞고 있다.

특사단 방북 결과를 설명하기 위해 미국을 찾은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은 8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트럼프 대통령을 면담했다. 정 실장은 이어 백악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김 위원장은 트럼프 대통령을 가능한 한 조기에 만나고 싶다는 뜻을 표명했고, 트럼프 대통령은 항구적인 비핵화 달성을 위해 김 위원장과 5월까지 만날 것이라고 말했다”고 밝혔다.

정 실장은 트럼프 대통령에게 “김 위원장이 비핵화 의지를 갖고 있다고 언급했으며, 북한이 향후 어떠한 핵 또는 미사일 실험도 자제할 것이라고 약속했다”고 설명했다. 또 “김 위원장은 한·미 양국의 정례적인 연합군사훈련이 지속되어야 한다는 점을 이해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 실장은 “트럼프 대통령과 함께 우리는 평화적 해결 가능성을 시험해보기 위한 외교적 과정을 지속하는 데 낙관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대한민국과 미국은 북한이 그들의 언사를 구체적 행동으로 보여줄 때까지 압박이 지속될 것이란 데 있어 단합된 입장”이라고 했다.

정 실장은 김 위원장의 메시지를 친서가 아닌 구두로 전달했다고 백악관은 밝혔다. 면담에는 제임스 매티스 국방장관, 허버트 맥매스터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 존 설리번 국무부 부장관, 존 켈리 백악관 비서실장, 댄 코츠 국가정보국장 등이 참석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기자회견 직후 트위터에서 “큰 진전”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김정은이 한국 대표단과 동결이 아닌 비핵화를 이야기했다”면서 “또한 이 기간에 북한의 미사일 실험은 없다”고 밝혔다. 이어 “큰 진전이 이뤄졌다. 하지만 합의에 도달할 때까지 제재는 계속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만남이 계획됐다”며 북·미 정상회담을 예고했다.

아프리카를 방문 중인 렉스 틸러슨 국무장관은 지부티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김 위원장의 초청 수락은) 트럼프 대통령이 직접 결정한 것이다. 대통령과 그 결정에 대해 만족스러운 대화를 했다”고 말했다. 회담 준비와 관련해선 “몇 주가 걸릴 것”이라고 했다. 새라 허커비 샌더스 백악관 대변인은 “장소와 시간은 추후에 결정될 것”이라면서 “미국은 북한의 비핵화를 고대한다. 그사이 모든 제재와 최대의 압박은 유지돼야 한다”고 말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을 통해 “남북정상회담에 이어 트럼프 대통령과 김 위원장이 만나면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는 본격적인 궤도에 들어설 것”이라며 “5월 회동은 훗날 한반도 평화를 일궈낸 역사적 이정표로 기록될 것”이라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이어 “어려운 결단을 내려준 두 분 지도자의 용기와 지혜에 깊은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면서 “특히 김 위원장의 초청 제의를 흔쾌히 수락한 트럼프 대통령의 지도력은 남북한 주민, 더 나아가 평화를 바라는 전 세계인의 칭송을 받을 것”이라고 말했다.

평창 동계올림픽을 계기로 마련된 한반도 긴장 완화 분위기는 남한 특사단의 방북에 이어 4월 말 판문점 남북정상회담과 북·미 정상회담으로 연결되고 있다. 북·미 정상회담에선 북한 비핵화, 미국의 북한에 대한 안전 보장 문제가 의제로 다뤄질 것으로 전망된다. 논의 결과는 국제법적인 한반도의 정전 상태를 끝내는 종전 선언, 북·미관계 정상화 등 한반도 평화 체제 구축 문제로 이어지는 계기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