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일 신화 논란

과연 심일 소령은 해치를 열고 화염병을 투척했나

2017.04.25 07:53
박성진 기자

6·25 전쟁 초기 국군은 북한군 전차 및 자주포에 대적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어 무기가 없었기 때문에 과거 일본군이 운용하던 육탄 공격을 선택했다고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는 소개했다.

6.25 전쟁 당시 노획한 SU-76 자주포

6.25 전쟁 당시 노획한 SU-76 자주포

군사편찬연구소에 따르면 육탄 공격은 주로 수류탄 2발과 안전핀을 제거한 60㎜나 81㎜ 박격포탄 1발, 그리고 화염병을 휴대한 특공조에 의해 이뤄졌다.

국군의 대전차 육탄공격 방법은 먼저 엔진부분에 화염병을 던져 전차를 정지시킨 후 해치(출입구 덮게)를 열고 수류탄을 던져 넣는 것으로 시작된다. 이후 60㎜ 포탄의 안전핀을 제거해 전차 안에 다시 던져 넣고, 그 직후 화염병과 휘발유를 쏟아 넣어 그 열기에 의해 포탄이 터지게 하는 방식이었다는 것이다.

국방부 고 심일소령 공적확인위원회는 지난 1월 공청회에서 1950년 6월 25일 옥산포 전투 당시 심일 소령을 비롯한 대전차포중대 제2소대원들의 육탄공격도 57㎜ 대전차포로 북한군 자주포의 궤도를 공격하여 기동을 중지시킨 후 소대원들이 해치를 열고 수류탄과 휘발유병을 투척하여 파괴한 것으로 참전자의 증언을 통해 확인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공청회에서 심일 소령이 파괴한 적의 자주포는 신형이라며 해치가 있는 SU-76M형을 파괴한 기록이 있다고 소개했다. 공적확인위원회 관계자는 “SU-76 M형 자주포는 내부가 개방된 초기 모델인 SU-76 I형 자주포와 달리 밀폐형”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육군 군사연구소측은 실제로는 SU-76M이 해치가 없고, 구형인 SU-76I가 해치가 있다고 반박했다. 소련군 군사고문 라주바예프의 6·25전쟁 보고서를 보면 T-70 전차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SU-76 자주포는 전투시에 가스가 차는 치명적인 결함이 있어 1943년부터는 해치를 제거한 신형 SU-76M을 생산했다는 것이다.

육군 군사연구소는 “공적확인위원회의 주장대로라면 심일 소령은 M형에는 있지도 않은 해치를 열고 수류탄과 화염병을 던져 파괴한 꼴이 된다”고 지적했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