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위안부 합의’ 후폭풍

“최종 해결 아니면 그냥 돌아와” 아베, 기시다 외상에 사전 특명

2015.12.29 22:46 입력 2015.12.29 23:12 수정

일 언론이 전한 뒷얘기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한·일 간 일본군 위안부 문제 협의를 지휘하면서 ‘최종 해결’이라는 조건을 반드시 관철시키도록 한 것으로 드러났다. 아베 총리는 지난 24일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외무상을 관저로 불러 위안부 문제 협의를 위한 방한을 지시하면서 “합의에 ‘최종적이고 불가역적’(인 해결)이라는 말이 들어가지 않는다면 교섭을 그만두고 돌아오라”고 주문했다고 요미우리신문이 29일 보도했다. 니혼게이자이신문도 아베 총리가 기시다 외무상에게 ‘최종적이고 불가역적인 해결’이라는 문구를 절대적인 조건으로 제시했다고 전했다.

아베는 한·일 협의가 끝난 뒤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도 “자녀, 손자, 그 다음 세대의 아이들에게 사죄를 계속하는 숙명을 지게 해서는 안된다”며 위안부 문제에 ‘마침표’를 찍겠다는 강한 의지를 나타냈다. 협의 과정에서 일본 측은 일본군 위안부에 대해 ‘성노예’라는 표현을 사용하지 말 것을 요구하기도 했다. 이런 사실은 세코 히로시게(世耕弘成) 관방부(副)장관이 기자회견에서 소개하면서 알려졌다. ‘일본군 위안부는 성노예’라는 인식이 국제사회에 퍼지는 것을 막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해외 언론들은 ‘군 위안부’와 ‘성노예’라는 표현을 섞어 쓰고 있다.

한국 정부가 위안부 문제 합의를 주도한 듯한 정황도 일본 언론을 통해 전해졌다. 요미우리는 29일 “한국 정부가 청구권협정에 대한 헌재 결정과 산케이신문 전 지국장 판결을 앞두고 일본 정부에 안심하라는 의견을 보내왔다”고 보도했다. 그러자 일본은 위안부 문제가 타결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야치 쇼타로(谷內正太郞) 국가안보국장을 서울로 보냈으며, 협상이 급진전됐다는 것이다. 일본 언론들은 공식 합의문을 만들지 않은 것도 국내 반발을 우려한 한국 측 요구에 따른 것이라고 전했다. 기시다 외무상이 28일 박근혜 대통령과 면담한 후 일본 기자들과의 비공개 간담회에서 “(일본이) 잃은 것은 10억엔뿐”이라고 말했다는 보도도 나왔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