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복구 본격화 땐 원자재값 상승 우려

2011.03.16 21:34 입력 2011.03.17 00:39 수정

올 하반기 국내 물가관리에 ‘비상등’이 켜졌다. 일본 도호쿠 대지진 복구작업이 본격화되면 국제유가 등 원자재 가격 상승이 불가피하다. 일본산 부품 수급 차질에 따른 제품가격 상승도 우려되는 상황이다.

정부는 주요 생필품 관련 불공정행위 조사를 확대하는 등 ‘물가 잡기’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16일 김화년 삼성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은 “복구작업이 시작되면 가동이 중단된 원전을 대신해 화력발전 수요가 증가할 것”이라며 “장기적으로 복구사업과 전력 재공급을 위한 수입 수요가 증가하면서 유가는 반등할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

원자재 가격도 불안하다. 복구에 필요한 원자재를 일본이 사들이기 시작하면 국제가격은 오를 수밖에 없다. 자칫 사태 및 복구작업이 장기화될 경우 수급 불안에 따른 물가압력도 증가한다. 우리 경제는 전체 부품 수입의 4분의 1을 일본에 의존하고 있다.

김동열 현대경제연구원 수석연구위원은 “우리 기업들이 확보하고 있는 부품은 2~3개월 분량”이라며 “재고 수준을 넘어서는 시점부터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고 말했다.

김중수 한국은행 총재도 이날 “당분간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높은 수준을 지속할 가능성이 있다”며 “최근 물가상승분 중 절반 정도가 원자재 가격 상승 등과 같은 공급 측 요인에서 비롯됐다”고 말했다.

정부는 가격동조 및 편승인상 등 인플레이션 심리 확산을 막기 위한 조치에 나섰다.

공정거래위원회는 이달 말부터 단무지 등 주요 생필품 10여개 품목에 대한 불공정행위 조사 결과를 잇달아 내놓기로 했다. 또 정유사가 자사 주유소들이 마음대로 거래 정유사를 바꾸지 못하도록 압력을 행사하는 이른바 ‘원적지 관리 행위’가 경쟁 제한을 목적으로 한 정유사 간 담합에 따른 것인지 검토해 오는 5월 말까지 제재수위를 확정, 발표키로 했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