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군 60년대 기뢰 600여발 부설… 일부 유실

2010.03.30 18:15
박성진 기자

백령도 인근 기뢰 있나 없나

미군 철수하며 부분 제거

2008년에 10발 회수 그쳐

천안함 침몰 원인으로 기뢰 폭발에 무게가 실리면서 과거 백령도 인근에 부설됐던 미군 기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김태영 국방장관은 지난 29일 국회 국방위에서 “과거 (백령도 지역에) 폭뢰를 개조해 적의 상륙을 거부하기 위한 시설을 해 놓은 게 있었는데 다 수거했다”고 밝혔다.

김 장관이 지목한 기뢰는 1960년대 미군이 군무원들을 동원, 백령도에서 운영하던 레이더기지를 보호하기 위해 부설한 것을 말한다고 군 관계자는 밝혔다. 냉전이 한창이던 59년 1월부터 70년 말까지 미군은 한국군과 함께 공동으로 북한군의 움직임을 감시하기 위해 백령도 레이더기지를 운영했다.

당시만 해도 북한군의 전력이 우세하던 시절이라 미군은 북한군의 기습 상륙을 우려해 백령도 일부 지역에 폭뢰를 개량한 전기식 기뢰를 설치했다. 이 기뢰는 물속에서부터 지상까지 전기선을 연결한 후 감시초소에서 스위치를 눌러 폭발하는 방식이었다. 비록 최신형은 아니었지만 이 기뢰의 폭발력은 약 300파운드 정도였고 500~600여발이 부설됐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 기뢰는 미군이 철수하면서 제거했지만 일부는 수심 15~20m 바닥까지 떠내려간 후 유실됐고 우발적인 사고를 우려한 합동참모본부가 2008년 2개월간 유실지뢰 수거작업을 펼쳤다고 합참 관계자는 30일 전했다. 그는 “전 해안을 샅샅이 뒤져 10발을 제거했는데 나머지는 발견하지 못했다”고 말했다.

해병대 관계자는 “90년대까지만 해도 잠수작업 중 수중 바닥에서 기뢰를 발견하는 게 어려운 일은 아니었다”며 “그러나 이후 정밀 제거작업을 실시해 모두 제거했다”고 말했다.

만약 천안함이 과거 미군이 설치한 구식 기뢰에 부딪혀 침몰한 것으로 확인될 경우 책임소재 문제가 복잡해질 전망이다. 1910년 1월 발효된 ‘자동촉발수뢰 부설에 관한 협약’은 평시 해저기뢰의 설치를 금지하면서 자국 영해에 설치했던 기뢰의 관리 책임을 설치한 국가에 묻고 있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