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 3구’ 투표율 평균 33.7%… 강남 대 비강남 뚜렷

2011.08.24 22:05 입력 2011.08.24 23:42 수정
박영환·장은교·임지선 기자

서울시 무상급식 주민투표 결과는 ‘오세훈 표’ 선별적 복지에 대한 지역 및 세대 간 입장차를 그대로 보여줬다. 지역별로는 강남 3구가 투표율 상승을 주도했고, 세대별로는 청장년층보다 노년층이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오세훈 서울시장이 시장직까지 걸었지만 최종 투표율은 서울에서 한나라당 지지율에도 못 미쳤다. 보수층을 최대한 집결시켰지만 중도층 참여는 전혀 이끌어내지 못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강남 3구’ 투표율 평균 33.7%… 강남 대 비강남 뚜렷

■ 강남 대 비강남 구도

지역별로는 ‘강남 대 비강남’의 차이가 분명히 드러났다. 강남 3구는 ‘오세훈 구하기’에 앞장섰다. 서초구는 12만6296명(36.2%)이 투표에 참여해 투표율 1위를 기록했다. 다음으로는 강남구 16만3509명(35.4%), 송파구 16만7754명(30.6%)이 뒤를 이었다. 서초구는 전체 투표율 25.7%보다 10%포인트 가까이 높았다. 투표율 30%를 넘은 곳은 강남 3구가 유일했고, 이곳의 평균 투표율은 33.7%로 투표함 개봉 기준을 넘어섰다.

강남 3구는 출발부터 평균 투표율보다 앞서갔다. 오전 6시40분쯤 강남구 대치동의 한 아파트 내에 설치된 투표소에서는 출근 전에 투표를 하기 위해 100m가량 줄을 서서 기다리는 모습도 보였다. 오전 9시 강남구의 투표율은 9.6%로 서울의 전체 투표율 6.6%를 크게 웃돌았다. 서초구는 8.9%로 2위를 기록했고, 송파구는 8.1%로 뒤를 이었다.

금천구와 관악구, 구로구 등은 저조한 투표율을 보였다. 금천구는 20.2%(4만729명 투표)로 최저 투표율을 기록했다. 관악구가 20.3%(9만1092명 투표)로 뒤를 이었고, 강북구도 21.7%(6만1867명 투표)로 낮았다.

서울 전체 25개구 중에서 평균 투표율을 넘어선 곳은 7개구뿐이었다. 강남 3구 외에 강동구(27.6%), 용산구(26.8%), 노원구(26.3%), 양천구(26.3%)가 평균을 웃돌았다. 용산·양천·노원구는 재개발, 교육열 등으로 부동산 가격이 상대적으로 높다. 강북에서도 부유층이 많은 곳에서 무상급식 반대가 많았음을 확인할 수 있다. 서울 내에서 강남 대 비강남으로 갈리고, 강북에서도 잘사는 3개구와 다른 구로 민심이 갈려 있는 셈이다.

이 같은 투표율 분포는 서울의 여야 정치지도와도 일치한다. 현재 서울의 45개 지역구 중 민주당 국회의원이 있는 곳은 7곳으로 관악을, 구로을, 강북을, 은평갑 등이다. 이곳은 모두 평균 이하의 투표율을 보였다. 강남 3구 중에서도 상대적으로 투표율이 낮은 송파구도 민주당 의원이 있는 곳이다.

‘강남 3구’ 투표율 평균 33.7%… 강남 대 비강남 뚜렷

■ 젊은층과 직장인 참여 저조

세대별 온도차도 확인됐다. 투표율 견인에 앞장선 강남 3구에서도 오전 투표의 적극 참가자들은 대부분 40~50대 주부와 50~60대 이상의 노년층이었다. 투표율이 저조했던 지역에서도 투표 주도층은 젊은 세대가 아니었다. 이날 오전 7시30분쯤 찾은 관악구 봉천동의 한 투표소에서는 노인 7명만 줄을 서서 투표를 기다리고 있었을 뿐 20~30대는 찾기 어려웠다. 출근 전에 투표를 했다는 한 정부 당국자는 “정말 노인분들밖에 없더라”고 투표장 분위기를 전했다.

관악구와 서대문구 등 대학들이 많은 지역에서 낮은 투표율을 보인 것도 특징이다. 이는 20~30대 젊은 유권자들이 한나라당과 오세훈 시장이 주도하는 선별적 복지안에 부정적임을 보여준다. 점심시간대와 퇴근 후 투표율이 특별한 차이를 보이지 않은 것도 30~40대 샐러리맨들의 참여가 저조했음을 보여주는 근거다. 오전 9시에 6.6%를 기록한 투표율은 11시 11.5%, 12시 13.4%로 시간당 2~3%포인트씩 올라갔다. 점심시간을 지난 오후 2시의 투표율은 17.1%로 두 시간에 3.7%포인트만 올라 이전과 별 차이를 보이지 못했다. 직장인들의 점심시간을 이용한 투표가 많지 않았다는 의미다.

한나라당이 기대를 걸었던 퇴근 이후의 투표율도 저조했다. 오후 6시 22.1%에서 투표 마감시간인 오후 8시 25.7%로 퇴근시간 2시간 사이에 3.6%포인트 오르는 데 그쳤다.

실제 직장인들 사이에서는 투표를 하고도 쉬쉬하는 분위기였다. 출판업계에 종사하는 이모씨는 “주민투표 자체가 정치적인 사안이 되다보니 친한 사이가 아니면 투표 사실 자체를 아예 묻지 않는 분위기였다”고 말했다.

■ 중도 견인 실패한 선거

오 시장이 시장직까지 걸어 얻은 투표율은 25.7%였다. 서울시민 유권자 중 215만7744명이 투표에 참여했다. 오 시장이 지난해 6·2 지방선거에서 얻은 득표율 25.4%와 비슷한 수준이다. 오 시장을 찍었던 208만명보다 많은 사람들이 투표에 참여한 것이다.

투표율은 이명박 대통령과 한나라당의 서울지역 지지율보다는 낮았다. 디오피니언의 8월 정례여론조사에 따르면 서울에서 이 대통령의 지지율은 37.9%, 한나라당의 지지율은 32.2%였다. 2007년 대선에서 이 대통령의 서울지역 득표율인 33.4%(268만9162표)에도 못 미쳤다.

결국 한나라당이 논란 끝에 막판 총력지원으로 방향을 잡았지만 오 시장 지지자를 결집해내는 수준에 그쳤고, 이 대통령과 한나라당을 지지하는 서울시민 전체를 투표장으로 끌어내는 데는 실패했다. 한나라당과 이 대통령 지지자 중에서도 무상급식 투표에는 부정적 입장을 가진 사람이 적지 않음을 의미한다.

투표율 25.7%는 또 보수 지지층을 모으는 데 그쳤을 뿐 중도세력을 투표장으로 끌어들이는 데 실패했음을 보여준다는 평가다. 투표율이 곧 오 시장에 대한 지지율임을 감안하면 오 시장에 대한 비토는 70%를 넘었다는 의미가 된다. 조직적으로 투표불참 운동을 벌인 야권 세력뿐 아니라 상황을 관망하던 30~40%의 중도 성향 유권자도 투표장을 찾지 않았다는 의미다.

■ 이미 오전 11시 판가름

투표율은 초반 기세 좋게 올라갔으나, 오전 11시부터 추동력을 잃었다.

한나라당과 무상급식 주민투표 추진 측은 ‘오전 투표 독려’에 진력했다. 한나라당이 “오전 10시까지 20%를 확보해야 총 투표율 33.3%를 확보할 수 있다”는 ‘1020전략’을 채택했기 때문이다. 오전 중 투표율 상승세에는 힘이 붙었다. 오전 7시 1.7%로 시작한 투표율은 오전 9시 6.6%, 11시 11.5%로 4.9%포인트씩 올랐다. 한 시간 단위로 환산하면 2.4~2.5%씩 오른 셈이다. 보수적인, 나이든 유권자들의 투표가 오전에 집중된다는 점을 감안하면 예상됐던 수치다. 주민투표 청구 측인 오 시장이나 한나라당은 기대를 가질 만했다.

한나라당 홍준표 대표는 오전 자신의 지역구인 동대문구 전농동에서 투표를 한 뒤 “오전 11시까지 15% 이상 될 수 있다면 33.3% 달성은 비관적이 아니라고 본다”고 말했다.

하지만 거기까지였다. 오전 11시를 기점으로 상승세는 눈에 띄게 꺾였다. 한 시간 뒤인 낮 12시까지는 1.9% 올랐을 뿐이다. 점심시간인 낮 12시부터 오후 1시까지는 그나마 2.4%포인트 올랐다.

하지만 그 이후 오후 7시까지 1.2~1.4%포인트 올랐다. 한나라당에서는 당황한 기색이 역력했고, “25%만 넘겨도 패배는 아니다”(홍준표 대표)라며, 투표 불성립을 기정사실화했다. 민주당 박선숙 전략홍보본부장(51)도 오후 2시쯤 “이제 됐다”고 안심했다.

오후 7시부터 마감시간인 오후 8시까지는 2.2%포인트 올랐지만, 30% 벽에도 못 미친 수준에서 투표가 마감됐다.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이 시각 포토 정보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