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의·다산부대 철수 ‘급류’

2007.08.29 18:17

탈레반에 억류돼 있던 한국인 인질 19명의 석방조건인 아프간 주둔 한국군의 연내 철군이 다음달부터 본격 추진될 전망이다.

합참 고위 관계자는 29일 “(아프간 주둔 동의·다산부대를) 연말까지 철수한다는 일정에는 변함이 없다”면서 “9월초 동맹국들에게 철군계획을 공식통보하는 등 협조절차를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동의·다산부대의 연내 철군은 인질 석방 조건이 되기 전부터 예정된 사안이지만 합의 이행 의지를 보여주는 차원에서 철군 준비 작업을 서두르기로 한 것이다. 군당국은 이에 따라 동의·다산부대의 인도적 구호·진료, 평화재건 지원 성격을 감안해 동맹국들에게 철수계획을 알리고 병력과 장비의 이동 등에 대한 협조절차에 들어가게 된다.

군 장비의 철수작업은 11월 시작될 것으로 예상된다. 군은 경계병력이 소지하는 개인화기 등 경계장비는 국내로 반입하되, 현지에서 조달한 다른 장비들은 현지 처분할 계획이다.

미군 최대기지인 바그람기지에 주둔중인 동의·다산부대원 210여명은 기지 인근 공항에서 미군 C17 수송기를 이용해 키르기스스탄의 마나스기지로 이동한 뒤 전세기를 이용해 귀국길에 오를 것으로 관측된다. 다만 정부는 아프간에서 활동중인 비정부기구(NGO) 활동가들이 안전하게 철수한 이후에 병력을 뺀다는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군당국은 12월 중순 이전에 병력을 철수시킨 뒤 동맹국과의 협조절차를 처리할 행정요원들을 순차적으로 아프간에서 출발시킬 것으로 보인다. 현재 아프간에는 44개국 4만4000여명의 동맹군들이 북대서양조약기구(NATO)가 이끄는 국제안보지원군(ISAF)의 지휘를 받고 있다. 정부는 동의·다산부대의 철수와 별개로 미국이 요청하는 NGO 등의 지방재건활동 참여 문제를 고민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한국 NGO 활동가의 연내 철수가 인질 석방 조건이긴 하지만, 석방 과정에서 미국측 도움이 컸다는 점을 무시하기 어렵다는 점에서다. 미국은 지난 5월 아프간의 지방재건팀(PRT), 지역재건팀(RRT) 참여 등을 요청해왔다.

〈안홍욱기자〉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