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니·사우디 물밑 지원 ‘사태 해결’

2007.08.29 01:15

아프간 인질 사태의 평화적 해결 과정에서 눈에 띈 것은 인질 사태와 무관한 제3국인 인도네시아와 사우디아라비아의 존재였다. 이들은 인질 19명 전원 석방이라는 합의를 이끌어내는 데 상당한 역할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탈레반이 이슬람의 이름으로 명분을 쌓고 있다는 점에서 이슬람권의 비난과 압력은 큰 부담일 수밖에 없다. 이슬람 국가들의 물밑 지원은 무사 석방을 이끌어내는 데 큰 힘을 보탠 것으로 분석된다.

사우디의 역할은 ‘인질 19명 전원 석방 합의’ 가능성이 흘러나올 때부터 언급됐다. 아프간이슬라믹프레스(AIP)는 지난 25일 “사우디의 중재로 피랍 한국인 전원이 석방될 것”이라고 보도한 바 있다. 지난 25일부터 중동 순방에 나선 송민순 외교통상부 장관이 맨 먼저 들른 곳도 사우디다. 송장관은 압둘라 사우디 국왕을 만나 노무현 대통령 친서를 전달하고 인질석방에 협조를 당부했다. 압둘라 국왕은 “이슬람 지도자들과 협력해 우리가 할 수 있는 조치들을 취하겠다”고 밝혔다.

사우디가 이슬람권에서 차지하는 비중, 탈레반과의 관계를 감안하면 사우디의 역할 공간이 크다는 점이 설득력을 얻는다. 사우디는 탈레반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수니파의 종주국이다. 과거 탈레반 정권을 승인했던 세 나라 중 한 나라이다.

인도네시아는 28일 네번째 대면협상에서 등장했다. 한국측과 탈레반의 대면협상에 인도네시아 관계자 2명이 참여했다고 외신들은 전했다. 인질 19명 전원 석방의 합의 이행을 보증하는 역할을 인도네시아가 맡은 것이다. 사우디가 노골적인 친미정권의 성향을 띤다는 점에서 인도네시아의 보증이 탈레반에 더 효과적이었을 수 있다.

인도네시아는 인구 2억2000만명 중 85%가 모슬렘 세계 최대 이슬람 국가이다. 인도네시아는 사건 초기, 양대 이슬람 단체의 이름으로 납치행위는 이슬람의 율법과 가르침에 어긋나는 것이라며 피랍 한국인의 즉각 석방을 촉구했다.

〈박지희기자 violet@kyunghyang.com〉

추천기사

바로가기 링크 설명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내 뉴스플리에 저장